몸과 물질을 매개로 공간 감각의 형성
Shaping spatial perception through body and matter
About
윤채영 chaeyoung Yoon
Dancer · Choreographer
윤채영은 몸을 재료로 삼아 변화하는 공간 속 지각의 흐름을 감각화하는 작업을 이어가고있다. 다층적 환경에서 인간은 어떻게 존재하며, 어떤 흔적을 남기는지에 대한 질문을 출발점으로, 몸을 통해 그 감각을 탐색한다.
이러한 신체적 탐구는 개인의 감각이 사회적 맥락 안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어, 인간의 지각 방식과 인식 구조에 대한 탐구로 이어진다.
작업은 동시대의 다양한 질문들과 교차하며, 개인, 사회, 장소, 경험 사이의 관계를 공간의 층위 생성, 감각의 전이, 관계의 흔적이라는 형태로 몸을 통해 공간 안에 구성한다.
Chaeyoung Yoon continues her practice of sensorializing the flow of perception within changing spaces through the body as material. Starting with the question of how humans exist and what traces they leave in multilayered environments, she explores these sensations through the body as a medium.
This embodied inquiry expands into an interest in how individual perception operates within social contexts, leading to an exploration of human perception patterns and cognitive structures.
Her work engages with various contemporary questions, constructing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society, place, and experience through the body, manifested in the creation of spatial layers, sensory transitions, and traces of relation within space.
몸 - 공간 - 지각 - 감각화 - 개인과 사회의 관계
몸 - 공간 - 지각 - 감각화 - 개인과 사회의 관계
Body - Space - Perception - Sensorializing - Individual-Society Relationship
Body - Space - Perception - Sensorializing - Individual-Society Relationship
Artist Statement
공간, 몸, 현존성
Space, Body, Presence
공연예술에서 몸은 단순한 움직임을 넘어서 감각을 환기하고
공간의 분위기를 재구성하는 존재이다.
In performance art, the body is not merely a vehicle for simple movement but acts as an entity that unsettles perception and awakens the senses, reshaping the atmosphere of space. It observes how individual perception and social contexts intersect within this environment.
안무의 구성
Composition of Choreography
안무는 몸과 공간이 공유하는 시간 속에서 몸이 공간에 어떻게 존재하며 감각화하는지에 대한 구성 방식이다.
Choreography is not just movement; it is a method of composing how the body exists in space, how it shapes and sensorializes that space, and what shared time between body and space means.
몸의 감각, 몸의 위치, 아우라
Body’s Sensation, Position, Aura
움직이는 몸은 관객의 지각을 전이시키고,
익숙한 공간을 낯설게 바라보게 하는 장치로 기능한다.
The moving body functions not to produce a singular meaning on its own but as a device that transfers spectator perception and encourages a fresh view of familiar spaces.
향후 작업 방향
Future Work Direction
공간에 따른 몸의 위치를 지속 탐구하며, 몸의 현존적 순간과 관객의 지각적 목격순간을 감각적으로 포착하는 작업을 이어간다.
Continuing to explore the body’s position relative to space, this work aims to sensorially capture the body’s present moment and offer spectators an experience of perceptual witnessing.
Works: Choreography
카바주티스 Kabazuris
카바주티스 Kabazuris
1010100구골플렉스 1010100Googolplex
Green or NON Green
카바주티스 Kabazuris (2025)
upcoming
작품 소개
도시의 시간성과 흔적이 겹겹이 쌓인 공간 속에서 인간의 몸이 어떻게 존재하고 반응하는지를 탐구하는 작품이다.
작업 의도
변화무쌍한 환경과 예측할 수 없는 사회 구조 속에서, 끊임없는 불확실성을 경험하지만 삶은 지속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몸의 감각과 반응을 구조적 층위로 구성한다.
작품 요소
불안과 단단함, 침묵과 저항같은 양가적인 감각을 신체의 호흡과 움직임으로 응축하며, 멈춰있는 구조와 유동하는 신체의 충돌을 통해 생존의 리듬과 방식을 나타낸다.
관객 경험
응축된 움직임과 느린 호흡을 통해 긴장되고, 해소되지않는 답답함을 함께 몸으로 공유하며, 몸과 소리, 구조의 층위가 쌓이고 다시 벗겨지고 덧입혀가는 과정을 통해 몸이 그 안에서 적응하고 변화하는 방식을 생생하게 경험한다.
About the Performance
This piece explores how the human body exists and responds within spaces layered with the temporality and traces of the city.
Artistic Intention
Focusing on the continuous uncertainty experienced amid ever-changing environments and unpredictable social structures, the work organizes the body’s sensations and reactions into structural layers.
Elements of the Work
It condenses ambivalent sensations such as anxiety and resilience, silence and resistance, into the breath and movement of the body, expressing the rhythms and tactics of survival through the clash between static structures and the fluid body.
Audience Experience
Through condensed movements and slow breathing, the audience shares a tense and unresolved sense of confinement, vividly experiencing how the body adapts and transforms within layers of body, sound, and structural elements as they accumulate, peel away, and overlap.
카바주티스 Kabazuris (2019)
작품 소개
공간은 파괴와 붕괴를 거쳐 변화와 덧붙임이 반복되었다. 현재의 무질서함은 감각을 마비시키며, 우리는 ‘지금-여기’ 감각을 따라 공간 속 자기 존재와 의미를 탐색한다.
작업 의도
일상과 예술, 행위자와 관객, 작품과 관객 사이의 이분법 속에서 다층적 퍼포먼스가 관객과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추구한다. 관객은 수동적 감상자가 아닌 의미 창출의 참여자로서 존재한다.
작품 요소
공간 분위기, 연출, 설치, 영상, 움직임, 소리 등 반예술적 요소를 활용해 지속적 감각과 지각 실험을 진행한다.
관객 경험
관객은 감각하는 몸으로 자율적 반응을 통해 다양한 현상을 인식·해석하며, 체험의 순간까지 경험한다.
About the Performance
The space has been repeatedly destroyed, collapsed, transformed, and layered over time. Despite continuous changes, the disorder of contemporary life numbs our perception. This work explores the “here-and-now” sensation to seek self-existence and meaning within the space.
Artistic Intention
Amid dichotomies such as everyday life and art, performer and spectator, work and audience, this multilayered performance seeks meaningful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where the audience participates actively, not merely observes.
Elements of the Work
The piece draws on anti-art elements—atmosphere, direction, installation, video, movement, sound—to continuously experiment with sensation and perception.
Audience Experience
Audience members share in a sensory body that autonomously reacts, interpreting various phenomena and experiencing the moment of the event.
1010100구골플렉스 Googolplex (2019)
작품 소개
무한 증식을 상징하는 수치 1010100과 상상하기 어려운 단위인 구골플렉스는 기술 발전과 감각 둔화, 자연의 변화 사이 양면성을 은유적으로 탐구한다. 편리함과 반복, 과잉된 감각 속에서 몸이 어떻게 경험하고 반응하는지 주목한다.
작업 의도
일상에서 차용한 움직임과 키치한 신체 이미지를 출발점으로 삼아, 중력감을 느끼는 감각적 움직임으로 바뀌는 과정을 탐구한다.
작품 요소
몸의 행위가 만들어내는 냄새와 감각 자극은 관객에게 새로운 지각 경험을 제공하며, 신체는 변화의 물결을 만드는 감각 매개체로 작동한다.
관객 경험
관객은 때로 자극적인 냄새와 구조물의 변화들로 불편감을 느끼고, 키치하고 리듬있는 움직임에 함께 반응하기도 한다. 서로 상반되는 감응들이 오고가며 이전의 감응과 새로오는 감응 사이에 반응을 감지하게 된다.
About the Performance
The numbers 1010100, symbolizing infinite proliferation, and googolplex, an unimaginably large unit, metaphorically explore the duality between endless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sensory dulling, and the transformations of nature. The work focuses on how the body experiences and responds amid convenience, repetition, and sensory overload.
Artistic Intention
Starting from movements borrowed from everyday life and kitschy bodily imagery, the work investigates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into gravity-informed sensory movement.
Elements of the Work
The body’s actions create odors and sensory stimuli that offer new perceptual experiences to the audience, functioning as a sensory medium generating waves of change.
Audience Experience
Audience members sometimes feel discomfort from provocative smells and structural changes, while also responding to kitschy and rhythmic movements. They sense the interplay of contrasting sensations, detecting reactions between prior and emerging stimuli.
Green or NON Green(2018)
작품 소개
인류의 변화와 편리성은 끝없는 가능성을 지닌 미래이다. 그 안에서 자연의 아름다움은 쉽게 망각된다. 인간에 의해 조작되는 움직임과 그로 인해 생성되고 무너지는 이미지들을 통해 자연과 인공, 순수성과 왜곡된 아름다움의 경계를 탐구한다.
작업 의도
PVC홀로그램과 인공 조명을 활용한 빛의 층위를 통해 인공적인 아름다움을 시각적으로 구현한다. 빛을 따라 생성되는 움직임을 신체가 자연을 재현하거나 조작하는 방식을 상징하며, 반복적으로 쌓이고 해체되는 이미지들은 인간이 만들어낸 환경을 나타낸다.
작품 요소
일상에서 무심히 지나치는 재료들이 자연과 감각을 뒤흔드는 방식을 새롭게 인식하게하며, 공간과 빛, 움직임, 소리가 어우러져 다층적인 감각적 층위를 형성한다.
관객 경험
일상 공간인 카페 라운지에서 펼쳐지는 오픈형 퍼포먼스는 관객의 무의식에 감각적으로 개입한다. 친숙함 속 낯섦과 감각 전이가 교차하는 특별한 경험을 이끈다.
About the Performance
The changes and conveniences of humanity point toward a future of endless possibilities. Within this, the beauty of nature is easily forgotten. Through movements manipulated by humans and the resulting images that are created and destroyed, this work explores the boundaries between nature and artificiality, purity and distorted beauty.
Artistic Intention
The work visually realizes artificial beauty through layers of light using PVC holograms and artificial lighting. The movements generated along the light symbolize how the body reproduces or manipulates nature, while the images repeatedly build up and deconstruct, representing the human-made environment.
Elements of the Work
It creates a new awareness of how ordinary materials pass unnoticed in daily life disturb nature and our senses. Space, light, movement, and sound combine to form multilayered sensory strata.
Audience Experience
The open performance in a café lounge, a non-theatrical everyday space, operates as a sensory intervention that penetrates the audience’s unconscious, creating a special experience where familiarity and strangeness intersect with sensory transition.
Works: Dance for camera
Green or NON Green(2018)
작품 개요
인간이 만들어낸 인공 자연에 대한 질문을 바탕으로 초록색이 가진 이미지와 의미를 탐구한 댄스 필름이다. 지속 가능성을 주장하는 현대 삶을 배경으로, 바다와 초록빛으로 가득 찬 장면을 통해 인간 신체가 자연에 대해 이질적이면서도 의존적임을 묻는다.
작업 방향성
종이로 만든 의상과 반복 소비되는 일상 소품, 컬러 파우더를 사용해 구성한다. 초록빛으로 뒤덮인 장면은 자연과 인간 생명성의 양면성을 상징하며, 무용수의 몸은 자연을 재현하는 동시에 인공적인 상태로 나타난다. 바다라는 열린 공간에서 몸의 흔적과 감각적 확산을 통해 새로운 시각적 리듬을 만든다.
Director of Photography: Nakagawa Ku
About the Work
This dance film explores the questions raised by man-made artificial nature through the image of the color green. Against the backdrop of contemporary life that claims sustainability but ultimately leads to consumption, the work questions how the human body is both alien and dependent on nature through scenes covered with the sea and greenery.
Artistic Direction
The work is composed using costumes made of paper, everyday objects of repetitive consumption, and colored powder. Scenes covered in green symbolize the duality of green as an image of nature and human vitality. The dancer’s body appears both as an attempt to replicate nature and as consumed by artificiality, creating a new visual rhythm through traces of the body and dispersion of senses in the open space of the sea.
Works: Collaboration
Re:body(2025)
music: chaemin jung
perfomer / movement research : chaeyoung yoon
신체에서 발생한 반복적인 소리를 다시 신체로 전달하는 과정을 사운드와 움직 임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점점 쌓여가는 음악의 층위 속에서 몸은 빛을 내뿜으 며 음악과 교신하며, 빛과 몸의 물질로 음악에 화답한다.
빛을 내는 몸, 소리를 받는 몸, 그림자가 흔들이는 몸은 전달자의 역할로 작동하 며, 작품은 관객에게 사운드를 보는감각, 빛을 듣는 감각을 제안한다.
This work interprets the process of repetitive sounds generated by the body being communicated back to the body through sound and movement.
Within the increasingly layered music, the body emits light and communicates with the music, responding to it through the materiality of light and the body.
The body that emits light, the body that receives sound, and the body whose shadow sways act as messengers, and the work invites the audience to experience seeing sound and hearing light.
Research Pro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the body stripped of universal perspectives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Research Support Project, 2021)
보편적인 관점이 제거된 사물과 몸의 관계맺음 (서울 문화재단 리서치 지원사업,2021)
프로젝트 개요
사물의 목적성과 상징을 제거-몸이 사물과 맺는 새로운 관계를 탐색
개인의 지각을 통해 익숙한 사물과 낯설게 관계 맺기
프로세스
사물 수집 및 분류(질감, 형태, 재질 중심)
몸과 사물의 관계 - 움직임 생성
생성된 감각을 QR코트로 시각화
설치 구조물 안에서 감각의 전달 실험
Project Overview
Removal of the purpose and symbolism of objects - exploring new relationships between the body and objects
Establishing unfamiliar relationships with familiar objects through individual perception
Process
Collecting and categorizing objects (focusing on texture, shape, material)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objects—creating movements
Visualizing the generated sensations through QR codes
Experimenting with sensory transmission within installation structures
Contact Us
chaeyoungy@gmail.com
+82 10-4147-8784